2025.02.17
사내기업가의 신화
이 글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 2018년 6월호에 실린 Andrew Corbett의 글 “The Myth of the Intrapreneur” 원문을 번역한 글이며 개인의 창의력 만으로는 혁신이 어려우며, 지속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조직 전체의 체계적 지원과 혁신경영시스템 구축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주요 내용
- (사내기업가 모델의 환상 지적) 포스트잇, ‘좋아요’ 버튼, 플레이스테이션 등의 사례를 통해, 사내기업가 정신이 단순한 개인의 천재성에 의존할 경우 한계가 있음을 지적
- (진정한 혁신은 시스템의 성과) 코닥의 스티븐 새슨 사례는 뛰어난 아이디어라도 조직 전체의 체계적 지원과 협업 없이는 혁신이 실현되지 않으며, 기회를 잃게 됨을 지적하며,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해서는 8가지 시스템 요인을 제시.
핵심 메시지
- 혁신경영시스템의 8요소
- 혁신에 전념하는 최고경영진의 리더십과 혁신문화
- 전사적인 자원
- 명확하게 규정된 거버넌스 프로세스
- 돌파구 혁신을 위한 명확한 목표와 범위
- 회사의 여러 부서 간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포용적인 조직 구조
- 혁신 주기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프로세스와 도구
- 점진적 제품 혁신보다 긴 혁신 사이클에 필요한 성과 측정 및 보상 체계
- 기존 R&D 또는 신제품 개발 역할과 차별화된 역량과 인재
결론
결론적으로, 기존의 사내기업가 모델은 혁신의 만능해결책이 아니라는 점이 분명합니다. 혁신은 단 한 사람의 아이디어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체계적인 협력과 최고경영진의 리더십, 전사적 자원 배분, 명확한 목표 설정을 통해 실현됩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혁신 경로와 제도적 지원이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 우위를 구축하는 핵심임을 강조합니다..